맨위로가기

북부 사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부 사미어는 1748년 처음 기록되었고,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에서 사용되는 사미어의 방언이다. 초기 문법 연구와 사전 편찬을 거쳐 1832년 라스무스 라스크에 의해 현대 표기법의 기초가 마련되었다. 현재는 1979년 채택된 공식 표기법을 사용하며, 7개의 격과 다양한 동사 활용 형태를 가진 교착어이자 굴절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언어 - 크벤어
    크벤어는 노르웨이에서 사용되는 핀란드어 계열의 언어로, 동화 정책으로 인해 사용이 위축되었으나, 2007년 표준 문자 제정 계획이 있었지만 젊은 세대의 화자 부족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노르웨이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스웨덴의 언어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스웨덴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핀란드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핀란드의 언어 - 타타르어
    타타르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며 주로 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에서 사용되고 약 700만 명 이상의 화자가 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문자를 사용해 왔고 현재는 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볼가르어와 킵차크어군에 기원을 둔 교착어이다.
북부 사미어
지도 정보
사미어 사용 지역 지도
북부 사미어는 지도에서 5번으로 표시됨.
유네스코 위험에 처한 세계 언어 지도
유네스코 위험에 처한 세계 언어 지도에 따르면 북부 사미어는 "확실히 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됨.
기본 정보
언어 이름북부 사미어
고유어 이름se
다른 이름

사용 국가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사프미)
사용자 수약 25,000명
사용 시기1992–2013년
언어 계통우랄어족
하위 언어사미어, 서부 사미어
문자 체계라틴 문자(북부 사미어 알파벳), 북부 사미어 점자
소수 언어핀란드
스웨덴
ISO 639-1se
ISO 639-2sme
ISO 639-3sme
글롯로그nort2671
글롯로그 이름North Saami
언어 활력도위험
지역 정보
사용 지역랩랜드
법적 지위
공용어 인정 국가노르웨이(일부 지역), 핀란드(준공용어)
언어 관리
관리 기관사미어 위원회
추가 정보
음성 정보

2. 역사

북부 사미어는 1748년 크누트 레엠의 책 《En lappisk Grammatica efter den Dialect, som bruges af Field-Lapperne udi Porsanger-Fiorden|노르웨이어: En lappisk Grammatica efter den Dialect, som bruges af Field-Lapperne udi Porsanger-Fiordenno》에서 처음으로 기술되었고, 1752년과 1768년에 사전이 출판되었다.[7] 레엠의 동료인 안데르스 포르산게르는 사미족 출신으로 고등 교육을 받은 최초의 사미인이었으나, 당시의 인종차별적인 태도 때문에 사미어에 관한 자신의 연구를 출판할 수 없었고, 그의 연구 대부분은 사라졌다.

1832년 라스무스 라스크는 Ræsonneret lappisk Sproglære|덴마크어: Ræsonneret lappisk Sproglæreda('이성적인 사미어 문법')을 출판했으며, 북부 사미어 표기법은 그의 표기법을 기반으로 한다.

노르웨이에서는 지자체별 화자 분포에 대한 공식적인 전국 조사가 이루어진 적이 없다. 사미 언어 위원회의 2000년 조사에 따르면 카우토케이노카라쇼크의 사미어 사용자 비율은 각각 96%와 94%였다.[8] 트롬쇠는 2021년 노르웨이 사미 의회 선거에서 가장 많은 유권자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화자 통계가 없다.[9]

2. 1. 기원

북부 사미어는 1748년 크누드 림의 책 《En lappisk Grammatica efter den Dialect, som bruges af Field-Lapperne udi Porsanger-Fiorden|노르웨이어: En lappisk Grammatica efter den Dialect, som bruges af Field-Lapperne udi Porsanger-Fiordenno》에서 처음 알려졌고, 1752년과 1768년 첫 사전이 나왔다. 크누드 림의 동료 안데르스 포르상에르는 트론헤임 성당 학교 등지에서 사미어를 연구하였으나, 당시의 민족주의적 분위기 때문에 출판하지 못하였다. 이후 연구 자료가 대부분 사라졌다.[7]

1638년판 ''''의 한 페이지. 주기도문이 북부 사미어로 추정되는 언어로 기록되어 있음


초기 사미어로 인쇄된 텍스트 중에는 스웨덴어와 북부 사미어로 추정되는 언어로 쓰인 Swenske och Lappeske ABC Book|스웨덴어: Swenske och Lappeske ABC Booksv("스웨덴어와 라프어 ABC 책")이 있다. 이 책은 1638년과 1640년에 두 차례에 걸쳐 출판되었으며, 30페이지 분량의 기독교 신앙의 기도문과 고백이 포함되어 있다.[7]

현재 사용되는 북부 사미어의 철자법은 라스무스 라스크와 닐스 바이브 스톡플레트의 협력으로 1832년 출판된 《Ræsonneret lappisk sproglære efter den sprogart, som bruges af fjældlapperne i Porsangerfjorden i Finmarken. En omarbejdelse af Prof. Knud Leems Lappiske grammatica|덴마크어: Ræsonneret lappisk sproglære efter den sprogart, som bruges af fjældlapperne i Porsangerfjorden i Finmarken. En omarbejdelse af Prof. Knud Leems Lappiske grammaticada》를 기원으로 한다. 라스크의 원칙은 하나의 글자에 하나의 소리가 대응된다는 것으로, 노르웨이나 스웨덴어 철자법에 영향을 받은 룰레 사미어나 남부 사미어의 철자법과는 다르다. 스톡플레트와 J. A. 프리스는 사미어의 문법 책과 사전을 집필하였다. 이바르 오센이 노르웨이어 문법책을 작성하기 전에도 상세한 문법 서적이 있었다.

2. 2. 규칙

북부 사미어가 사용되는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에서는 철자법이 조금씩 다르다.[11] 북부 사미어로 성경을 번역할 때는 프리스의 철자법이 사용되었다.[11] 현대 북부 사미어의 단어 사전은 콘라드 닐센의 사전 Lappisk ordbok을 기초로 한다.[11] 1948년부터 노르웨이와 스웨덴의 북부 사미어 철자법은 단일화되었으나, 노르웨이에서는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11] 노르웨이에서는 사미어를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정책이 있었고, 스웨덴에서는 사미 학교에서 사미어를 가르쳤다.[11] 스웨덴의 정책 Lapp ska vara lapp(사미인은 사미인이어야 한다)에 의하여 사미 족을 대형 사회에서 분리하려는 의도도 있었다.[11] 1979년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가 공통 철자법을 도입하였다.[11]

북부 사미어의 자음 체계는 크며, 많은 자음에서 유성과 무성의 대립이 나타난다.[11] 일부 북부 사미어 음운론 분석에서는 예기성 된소리와 파찰음(/hp/, /ht/, /ht͡s/, /ht͡ʃ/, /hk/)과 전폐쇄음 또는 전성문 자음(무성 /pm/, /tn/, /tɲ/, /kŋ/ 및 유성 /bːm/, /dːn/, /dːɲ/, /ɡːŋ/)을 포함할 수 있다.[11] 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두 개의 음절로 명확하게 구성되고 이 중 첫 번째 음절만이 양 3에서 길어지기 때문에 음운론의 목적으로는 집락으로 처리될 수 있다.[11]

}

| ŋ|ㅇse

|-

! 무성

| m̥|se

| n̥|se

|

|

|

| (ŋ̥|se)

|-

! rowspan="3" | 파열음 /
파찰음

! 무성

| p|se

| t|se

| t͡s|se

| t͡ʃ|se

| c|se

| k|se

|-

! 유성

| b|se

| d|se

| d͡z|se

| d͡ʒ|se

| ɟ|se

| ɡ|se

|-

! 후기성

| pʰ|se

| tʰ|se

|

|

| kʰ|se

|-

! rowspan="2" | 마찰음

! 무성

| f|se

| θ|se

| s|se

| ʃ|se

|

| h|se

|-

! 유성

| rowspan="2" |v|se

| ð|se

|

|

|

|

|-

! rowspan="2" | 반모음

! 유성

|

|

|

| j|se

|

|-

! 무성

|

|

|

|

| j̥|se

|

|-

! rowspan="2" | 측음

! 유성

|

|

| l|se

|

| ʎ|se

|

|-

! 무성

|

|

| l̥|se

|

|

|

|-

! rowspan="2" | 떨림음

! 유성

|

|

| r|se

|

|

|

|-

! 무성

|

|

| r̥|se

|

|

|

|}

  • 무성 파열음은 유성음과 인접하여 나타날 때 유성 또는 부분적으로 유성인 변이음을 가지며, 때때로 단어의 처음에도 나타난다.[11]
  • 동종의 비음 앞에 있는 파열음은 미방출 파열음으로 실현된다.[11] 특히 젊은 화자들은 이 위치에서 무성 파열음을 성문 폐쇄음 [ʔ]으로 실현하고 유성 파열음을 동종의 비음 + 성문 폐쇄음 조합([mʔ], [nʔ] 등)으로 분해한다.[11]
  • /v/는 음절의 음절두(모음 앞)에서는 순치 마찰음 [v]로, 음절의 음절미(자음 군집 내)에서는 양순음 [β] 또는 [w]로 실현된다.[11] [v]는 마찰음이지만 음운론적으로는 유사음, 특히 /j/와 같이 행동한다.[11]
  • 양 3의 연쇄된 일반 파열음과 파찰음(bb, dd, zz, žž, ddj, gg로 표기)은 다양하게 유성(/bːb/, /dːd/, /dːd͡z/, /dːd͡ʒ/, /ɟːɟ/, /ɡːɡ/) 또는 부분적으로 유성(/bːp/, /dːt/, /dːt͡s/, /dːt͡ʃ/, /ɟːc/, /ɡːk/)으로 설명된다.[11]
  • 무성 유성음은 매우 드물지만, 변이음으로 더 자주 나타난다.[11] 음절미에서 유성음 + /h/의 조합(/mh./, /nh./, /ŋh./, /vh./, /jh./, /lh./, /rh./)은 동등한 무성 유성음(/vh/는 /f/가 됨)으로 실현된다.[11] 무성 [ŋ̥]은 이러한 방식으로만 나타나며 매우 드물다.[11]
  • 음절두에서 /h/ + 파열음 또는 파찰음(/hp/, /ht/ 등) 조합은 예기성([ʰp], [ʰt])으로 실현된다.[11]
  • /θ/는 매우 드물다.[11]
  • /d/는 두 개의 무강세 음절 사이에 있을 때 [ð]로 실현된다.[12]
  • /tk/ 집락의 발음은 방언에 따라 [tk], [θk], [sk]로 다양하다.[12][13]
  • /tm/은 [θm]으로 발음될 수 있다.[12]


북부 사미어(노르드 사미어)에서는 자음 변화가 나타난다.

2. 3. 동화

알타 논쟁 이후 인구 대량 이동과 정치적 분위기 변화가 맞물려 20세기 말 노르웨이의 사미족 동화 정책은 바뀌었다.[7] 현재 노르웨이 핀마르크주트롬스주, 카우토케이노, 카라스요크, 네세뷔, 데아트누-타나, 포르상에르, 가이부오트나 (코피오르) 지자체의 공식 언어이다. 1977년 이전에 출생한 사미족은 현재 사용되는 철자법을 배울 기회가 없었으므로, 글로 쓴 사미어가 보급된 지는 오래되지 않았다.[7]

1980년대에는 스칸디나비아 점자를 기반으로 하되 북부 사미어를 쓰는 데 필요한 7개 문자(á, č, đ, ŋ, š, ŧ, ž)를 추가한 북부 사미어 점자 알파벳이 개발되었다.[10]

3. 철자법

북부 사미어는 오랜 정자법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최소 9가지의 라틴 알파벳을 포함한다. 현대 북사미어 표기법의 기초는 라스무스 라스크가 닐스 비베 스톡플레트와 논의한 후 1832년에 출판한 Ræsonneret lappisk sproglære efter den sprogart, som bruges af fjældlapperne i Porsangerfjorden i Finmarken. En omarbejdelse af Prof. Knud Leems Lappiske grammaticada에서 마련되었다. 라스크는 음소적 표기 체계를 선택했는데, 이는 하나의 글자에 하나의 소리가 대응된다는 원칙이다. 이는 스웨덴어노르웨이어의 표기법 관례를 기반으로 하는 룰레 사미어남부 사미어의 철자법과는 다르다. 라스크의 전통을 따르면서 일부 자음에 부호가 사용되었는데(č, đ, ŋ, š, ŧ, ž), 이는 유니코드가 도입되기 전까지 데이터 처리 문제를 야기했다.[20] 스톡플레트와 J. A. 프리스는 모두 사미어 문법 책과 사전을 출판했다. 이바르 아센이 그의 ''노르웨이 방언 문법''을 출판하기 전에는 북사미어가 노르웨이어보다 더 잘 기술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북부 사미어는 과거에도 그리고 현재에도 세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각 국가는 수년 동안 자체 표기법을 사용했다. 프리스의 표기법은 성경을 북사미어로 번역하는 작업, 최초의 사미어 신문인 ''Saǥai Muittalægje'', 그리고 핀네미손(Finnemisjonen)의 자체 신문 ''Nuorttanaste''에서 사용되었다. 북사미어 어휘 연구의 기초는 자신의 창작 표기법을 그의 사전 Lappisk ordbokno에 사용한 콘라드 닐센에 의해 마련되었다. 1948년부터 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 사용되는 표기법이 단일 ''베르그슬란드-루옹 표기법''으로 통합되었다. 그러나 노르웨이에서는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

1979년에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에서 사용할 북사미어 공식 표기법이 채택되었다. 따라서 현재 사용 중인 공식 표기법이 1979년에 채택될 때까지 각 국가는 약간씩 다른 표준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표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운 오래된 책을 접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1979년 공통 철자법이 도입되기 전에는 나라별로 철자법이 조금씩 달랐기 때문에 그 시기의 책은 같은 말인데도 불구하고 표기법이 달랐다.

# Maanat leät poahtan skuvllai|Maanat leät poahtan skuvllaise

# Mánát leat boahtán skuvlii|Mánát leat boahtán skuvliise

(아이들이 학교에 왔다.)

첫 번째 문장은 안티 오우타코스키의 1950년 Samekiela kiellaoahpa|Samekiela kiellaoahpafi에서 나온 것이고, 두 번째 문장은 현재 표기법에 따른 표기법이다.

1979년에 승인되고 1985년에 마지막으로 수정된 최신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북부 사미어 자음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뒤치경음입천장음연구개음
비음유성m|ㅁsen|ㄴse{{lang|se|ɲ|}
문자이름음소영어
근사값
참고
A aaspa서부 핀마르크에서는 도 사용. 동부 핀마르크에서는 강세 모음절에 또는 , 무강세 모음절에 또는 사용.
Á áá,chai동부 핀마르크에서는 또는 도 사용.
B bbe,bat와 조합에서는 사용.
C cce,lets유성 자음 뒤에는 사용.
Č čče,chew유성 자음 뒤에는 사용.
D dde, ,do, , 조합에서는 사용. 무강세 모음 사이에는 사용.
Đ đđethisstyle="text-align: left;" |
E ee,sleighstyle="text-align: left;" |
F fáffunstyle="text-align: left;" |
G gge,go와 조합에서는 사용. 서부 핀마르크에서는 에서 사용.
H hhohestyle="text-align: left;" |
I ii, ,he모음 뒤에는 사용.
J jjeyesstyle="text-align: left;" |
K kko, ,cat유성 자음 뒤에는 사용. 강세 모음절의 처음에는 사용.
L lállipstyle="text-align: left;" |
M mámmythstyle="text-align: left;" |
N nánnostyle="text-align: left;" |
Ŋ ŋ|italic=noseáŋsing서부 핀마르크에서는 연구개 자음 앞을 제외하고 사용.
O oo,gostyle="text-align: left;" |
P ppe, ,park유성 자음 뒤에는 사용. 강세 모음절의 처음에는 사용.
R rár(연음) ratstyle="text-align: left;" |
S sássipstyle="text-align: left;" |
Š šášshedstyle="text-align: left;" |
T tte, , , ,told유성 자음 뒤에는 사용. 강세 모음절의 처음에는 사용. 어말에서는 사용. tk 조합에서는 사용.
Ŧ ŧŧethickstyle="text-align: left;" |
U uu,dostyle="text-align: left;" |
V vvevexstyle="text-align: left;" |
Z zez,rods조합에서는 사용.
Ž ž,hedge조합에서는 사용.



북부 사미어 특유의 문자(Čč, Đđ, Ŋŋ, Šš, Ŧŧ, Žž)를 제대로 입력할 수 없는 경우, 대체로 흔히 사용되는 라틴 문자에 급성 악센트(라틴 문자)를 붙이기도 한다.[17] 표준 표기법이 채택된 이후에 인쇄된 책에서도 입력 시스템의 한계로 인해 이러한 대체 표기가 여전히 발견된다.

이 문서를 포함한 사전, 문법서 및 기타 참고 자료에서는 일반적인 글쓰기에는 사용되지 않는 몇 가지 추가적인 표기를 사용한다. 다음은 페카 삼말라흐티(Pekka Sammallahti)의 Sámi-suoma sátnegirji|Sámi-suoma sátnegirjise에서 사용되는 표기이다.


  • 수직 표기인 ˈ 또는 아포스트로피 또는 이와 유사한 표기는 동일한 자음 두 개 사이에 놓여 길게 발음되는(양 3) 자음을 나타냅니다. 예: ''golˈli'' "금".
  • 같은 표기는 조합에서 Q3 자음군 을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장음 기호(ː)는 모음 위에 붙여 장음(, , , )을 나타냅니다.
  • 모음 아래에 점을 붙여 강세가 없는 단축된 모음 (, , )을 나타냅니다. 이는 앞선 모음이 상승/반장음이고 앞선 Q3 자음이 단축되었음을 암시합니다.


북부 사미어 정서법은 여러 글자의 조합을 많이 포함한다. 대부분의 경우, 이중 자음 문자는 이중 자음 음소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mm''은 를 나타낸다. 초장(양 3) 자음은 일반적인 이중 자음과 구분되지 않지만, 참고 문헌에서는 두 자음 문자 사이에 세로 표시(, , 등)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표시한다.

다른 자음 문자의 조합은 위에서 설명한 개별 문자의 발음으로 설명되는 해당 개별 음소를 나타낸다. 어순의 마지막 자음은 이중으로 표기될 수 있다. 이것은 자음 집합이 양 2임을 나타내는 반면, 이중화되지 않은 마지막 자음이 있는 집합은 일반적으로 양 3이다. 이는 또한 해당 자음 음소의 이중화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지만, 앞선 자음이 무성음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다음은 각 문자의 일반적인 발음 규칙의 예외가 되는 여러 문자의 조합에 대한 세부 정보이다.

예상할 수 있듯이, 이중모음은 두 글자의 조합으로 표기된다. 길이(장단)는 표시되지 않으며, 일반 이중모음과 상승 이중모음의 구분도 표시되지 않는다. 이 구분은 다음 음절에 와 가 있는 경우(이중모음 다음에는 항상 단모음이어야 함)와 참고 문헌에서 다음 음절의 모음 아래에 점이 있는 경우 추론할 수 있다.

글자음소
ea,
,
oa,
uo,



, , 조합은 각각 , , 를 나타낸다. 첫 번째 자음이 중복되면 길게 발음됨을 나타내며, 세로선은 특히 긴 을 나타낼 때 사용된다.

자모음소자모음소자모음소
ddjdj
lljlj
nˈnjnnjnj



의 경우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하나는 단일 음절의 2개 자음 이고, 다른 하나는 3개 자음의 음절군 (예: )이다. 하지만 후자는 드물다. 이 두 경우는 자음 등급 변화에서 차이를 보인다. 첫 번째 경우, 강세 등급에서는 가 나타나고 약세 등급에서는 가 나타나며, 이는 각각 극히 긴 과 긴 를 나타낸다. 두 번째 경우, (또는 )는 강세 등급에서 나타나고 는 약세 등급에서 나타나며, 이는 각각 와 의 음절군을 나타낸다.

앞에 를 붙여서 기음을 표시합니다. 긴 기음은 두 번째 자음을 두 번 써서 나타냅니다. 이는 일반적인 자음 군집 표기법과 정반대입니다.

문자음소문자음소
hcchc
hčč
hkkhk
hpphp
httht



무성 유성음도 앞에 를 붙여 표시하지만, 세 가지 길이를 가집니다. 다른 유성음과 마찬가지로, 참고 문헌에서는 매우 긴 길이는 수직선으로 표시합니다.

문자음소문자음소문자음소
hjˈjhjjhj
hlˈlhllhl
hmˈmhmmhm
hnˈnhnnhn
hrˈrhrrhr



음절 앞에 무성 파열음이 있는 비음(Q2)은 무성 파열음으로 표기합니다. 유성 파열음이 있는 비음(Q3)은 무성 파열음 대신 유성 파열음으로 표기합니다.

문자음소문자음소
bmpm
dntn
dnjtnj



음절 사이에 자음이 하나만 있으면 하이픈은 그 자음 앞에 온다.


  • i-ja
  • de-há-laš


단어에 이중 자음이 포함된 경우, 하이픈은 항상 두 자음 사이에 놓인다. 모음 앞에 오는 조합은 이중 자음으로 간주되므로 그 사이에 하이픈이 온다.

  • guol-li
  • áhk-ká
  • beaiv-váš
  • krist-ta-laš
  • bi-o-lo-gii-ja


두 개의 자음이 다른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 하이픈은 그 사이에 온다. 마찬가지로, 가 자음으로 간주되는 경우, 그 자음과 다음 자음 사이에 하이픈이 온다.

  • Sáp-mi
  • bái-di
  • kon-sear-ta
  • duos-tan


하이픈이 모든 자음 앞에 오는 몇 가지 예외가 있다.

  • pro-gram-ma
  • in-du-strii-ja


복합어의 경우, 하이픈은 항상 복합어의 두 부분 사이에 온다.

  • má-ilm-mi
  • gas-ka-i-ja-beaiv-váš


북부 사미어는 사미어 중에서도 사용 인구가 많아 다른 사미어에 비해 일찍부터 표기법이 고안되었다. 1887년 옌스 안드레아스 프리스(Jens Andreas Friis)에 의해 동부 핀마르크 방언을 기반으로 한 『라프어 사전』이 편찬되었고, 그 후 콘라드 닐센(Konrad Nielsen)이 1926년부터 1929년에 걸쳐 집필한 『라프어 교본』에서는 프리스의 표기법을 학술적인 전사에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표기법은 실용적으로는 불편한 것이었다.

그 후 노르웨이와 스웨덴에서는 현실에 맞는 표기법이, 핀란드에서는 음성적으로 충실한 표기법이 사용되어 통일된 표기법은 존재하지 않았지만, 1971년에 설립된 사미어 위원회에 의해 새로운 표기법이 제정되어 1979년에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3개국에서 표준 정서법이 되었다.

라틴 문자문자 명칭IPA
A aa/ɑ/
Á áá/a/
B bbe/b/
C cce/ts/
Č čče/tʃ/
D dde/d/
Đ đđe/ð/
E ee/e/
F fáf/f/
G gge/ɡ/
H hho/h/
I ii/i/
J jje/j/
K kko/k/
L lál/l/
M mám/m/
N nán/n/
Ŋ ŋáŋ/ŋ/
O oo/o/
P ppe/p/
R rár/r/
S sás/s/
Š šáš/ʃ/
T tte/t/
Ŧ ŧŧe/θ/
U uu/u/
V vve/v/
Z zez/dz/
Ž ž/dʒ/


4. 방언

북부 사미어는 크게 토르네, 동부 핀마르크, 서부 핀마르크(문어 표준), 해양 사미 방언으로 나눌 수 있다. 모든 북부 사미어 방언이 동일한 자음 체계를 갖는 것은 아니며, 일부 자음은 특정 방언에 없거나 다르게 분포한다.


  • 서핀마르크 방언: 가 없고 를 사용하며, 연구개 자음 앞에서는 가 의 이음 형태로 유지된다. 후기성문 마찰음 없는 자음은 나타나지 않고 일반 자음이 사용된다.
  • 동핀마르크 방언: 유성 전파정지 비음이 없고 무성 대응 자음으로 대체된다.
  • 해사미어 방언: 전파정지 비음이 없고 겹모음 비음이 사용된다.


자음은 자음군을 포함하여 강세 음절 뒤에서 여러 길이 유형(양)을 가질 수 있으며, Q1, Q2, Q3으로 표시된다. 어휘의 자음들은 자음 변화를 통해 특정 문법 형태에 따라 다른 양으로 나타난다.

  • '''양 1 (Q1)''': 단일 자음. 약세의 원시 사미어 단일 자음에서 유래.
  • '''양 2 (Q2)''': 이전 음절 종지에 짧은 자음이 있는 자음 조합(동부 핀마르크에서는 긴 모음이나 이중 모음 앞). 강세의 원시 사미어 단일 자음과 약세의 자음 두 개 조합에서 유래.
  • '''양 3 (Q3)''': 이전 음절 종지에 긴 자음이 있는 자음 조합(동부 핀마르크에서는 짧은 모음이나 이중 모음 앞). 강세의 원시 사미어 자음 두 개 조합에서 유래.


모든 자음이 모든 양 유형에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은 제한이 있다.

  • 는 양 1에서만 나타나며 변화하지 않는다.
  • 후기성 자음은 강세 음절 뒤에 나타나지 않아 양 구별이 없다.
  • 유성 파열음과 파찰음은 양 3에서만 나타난다. 양 1에서 유성 파열음은 무성 파열음의 동소이체이다.
  • , , 는 양 2와 3에서 나타나지만 양 1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양 3에서 음절 종지가 , , 로만 구성된 경우, 추가 길이는 삽입 모음으로 실현되며 주변 모음의 음질에 동화된다.

삼말라흐티[16]는 북부 사미어 방언을 다음과 같이 세분한다.

방언하위 방언지역
핀마르크 방언서핀마르크핀란드 엔론테키외(Enontekiö) 동부, 소단퀼래(Sodankylä) 북부, 이나리(Inari) 일부, 노르웨이 카우토케이노(Kautokeino), 알타(Alta)
동핀마르크핀란드 우츠요키(Utsjoki), 이나리(Inari) 일부, 노르웨이 카라쇼크(Karasjok), 포르산게르(Porsanger), 타나(Tana)
토르네 방언핀란드 쐐기 지역핀란드 엔론테키외(Enontekiö) 서부, 노르웨이 스키보트넬바(Skibotnelva), 걀고야브리(Gálggojávri), 노드레이사(Nordreisa)
카레수안도(Karesuando)스웨덴 컨커매부오마(Könkämävuoma), 라이니오부오마(Lainiovuoma), 노르웨이 린겐(Lyngen), 발스피오르(Balsfjord)
유카스예르비(Jukkasjärvi)스웨덴 사리부오마(Saarivuoma), 탈마(Talma), 라우타스부오마(Rautasvuoma), 카알라스부오마(Kaalasvuoma), 노르웨이 바그스피오르(Vågsfjord), 오포트피오르(Ofotfjord)
카이툼(Kaitum)스웨덴 노르카이툼(Norrkaitum), 멜란뷔(Mellanbyn)
해안 사미어



쓰기 언어는 주로 서핀마르크 방언을 기반으로 하며 동핀마르크 방언의 일부 요소를 포함한다.

서부 핀마르크 방언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연구개 비음이 구개 비음으로 합병 (동일 자리 파열음 앞 제외).
  • 앞 음절에 단모음과 1개 또는 2개의 자음이 있을 때 단모음 의 장모음화 (새로 생긴 장모음 은 자음 장모음화 유발 안 함).
  • 카우토케이노(Kautokeino): 가 로 합병.
  • 카우토케이노(Kautokeino): 의 유음화 (로 변화).


동부 핀마르크 방언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 강세 모음은 양의 자음 1개 또는 2개 앞에서 장음화.
  • 양의 자음 3개의 첫 번째 요소는 단음화되어 양의 자음 2개와 합쳐짐 (Q2 자음의 두 번째 요소가 이중되는 경우 제외).
  • 와 구분 (전자는 로 표기, 원시 사미어 ''*ā'' 반영, 후자는 로 표기, 원시 사미어 ''*ë'' 반영).
  • 무강세 음절에서 가 로 전치.
  • 움라우트: 두 번째 음절의 앞에 오는 앞 모음 앞 모음의 전치 ( 포함).
  • * 는 로 전치.
  • * 는 로 전치.
  • * 는 로 전치.
  • * 는 로 전치.
  • 모음 사이에서 는 로, 는 로 연화 (현대어에서는 강세 모음과 앞 모음 사이에서 가 되고, 그 외에는 영음).
  • 비폐쇄 이중모음 와 의 상향 이동.
  • * 타나 강 하류: 표준 와 와 완전히 합쳐져 와 (전치되지 않은 경우) 또는 와 (전치된 경우).
  • * 타나 강 상류: 비폐쇄 이중모음은 단일 자음과 (원래의) 이중 자음 앞에서만 상향 이동하며, 원래의 와 와 합쳐질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 * 타나 브루 남쪽 방언: 전치된 와 만 와 로 상향 이동.
  • 유카스예르비(Jukkasjärvi), 카레수안도(Karesuando), 핀란드 쐐기 지역(Finnish Wedge): 치경후치경 자음과 치경 자음 구분 상실 (카레수안도는 치경음, 핀란드 쐐기 지역은 치경후치경음).
  • 단수 여격 어미 '-n' 대신 '-s' 사용 (옛 탈격(inessive) 유래, 표준어 어미는 옛 조격(elative) 유래).
  • 3인칭 단수 현재 시제 '-o' 대신 '-u' 사용.
  • 유카스예르비(Jukkasjärvi), 카이툼(Kaitum): 복수 여격 어미 '-is' 대신 '-in' 사용 (서로 다른 두 옛 격 유래).
  • 카레수안도(Karesuando): 이중 모음 단순화에서 유래한 장음 와 가 다시 이중 모음 과 로 변화.
  • 유카스예르비(Jukkasjärvi), 카레수안도(Karesuando): 와 앞에서 단모음 가 로 변화.
  • 유카스예르비(Jukkasjärvi), 카레수안도(Karesuando): 강세 없는 음절에서 표준 장음 와 대신 과 사용.
  • 핀란드 쐐기 지역 제외 모든 지역: 원시 사미어 자음군 '*mt'와 '*mč'에서 유래한 표준 과 대신 와 사용.
  • 강세 모음 앞에서 비강음과 유음 강화 X (, , , 대신 , , , 사용).
  • 지소격 단수 '-s' 대신 '-st' 사용.
  • 동부 해양 사미어(Eastern Sea Sámi): 후치경(postalveolar) 자음과 치경(alveolar) 자음 구분 사라짐.

5. 문법

파찰음무성유성후기성마찰음무성유성rowspan="2" |반모음유성무성측음유성무성떨림음유성무성



자음은, 자음군을 포함하여, 강세 음절 뒤에 나타날 때 여러 가지 구별되는 길이 유형, 즉 양을 가질 수 있다. 이들은 관례적으로 양 1, 2, 3 (Q1, Q2, Q3)으로 표시된다. 어휘의 자음들은 자음 변화라는 과정에서 서로 바뀌는데, 이는 특정 문법 형태에 따라 자음이 다른 양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가능성 중 하나는 ‘강세’, 다른 하나는 ‘약세’로 명명된다. 약세 자음의 양은 일반적으로 1 또는 2이고, 강세 자음의 양은 일반적으로 2 또는 3이다.

서로 다른 음절에 속한 자음은 IPA에서 두 개의 자음 문자로 표기하고, 양 3의 자음 길이 확장은 IPA 길이 표시()로 나타낸다.

모든 자음이 모든 양 유형에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자음이 세 가지 양 모두에서 나타날 수 있는 경우, 양 3을 "초장"이라고 한다. 양 3에서, 음절 종지가 , 또는 로만 구성된 경우, 이 자음의 추가 길이는 음운론적으로 삽입 모음으로 실현된다. 이 모음은 주변 모음의 음질에 동화된다.

이것은 두 번째 자음이 치경/치조 파열음인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예: gieldase , 음운론적으로 , 또는 sáltise , 음운론적으로 .

동부 핀마르크 방언은 다른 북부 사미어 방언에는 없는 추가적인 대조를 가지고 있다.

일부 토르네 방언은 강세 와 (이중모음 단순화에서 유래) 대신 와 를 사용하며, 무강세 와 도 사용한다. 이중모음은 다음 음절에 짧은 'e', 짧은 'o', 'ii' , 또는 'ui' 가 있는 경우 단순화될 수 있다.[12] 즉, 이중모음의 첫 번째 모음만 남고, 1등급 및 2등급 자음군과 겹자음 앞에서는 길어진다.[13] 단, 일부 'e', 'o',[13] 그리고 'ui'(특히 /uːj/)는 단순화를 일으키지 않는다.[15] 아래는 몇 가지 예시이다.

무성 음절의 장모음 단축은 불규칙적으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복합어의 첫 번째 요소, 네 번째 음절, 그리고 다양한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서 발생한다. 단축될 때, 와 는 앞을 제외하고 와 로 저하된다. 단축된 모음은 여기서, 그리고 다른 참고 문헌에서는 원래 짧은 모음과 구분하기 위해 아래 점을 붙여 ''ạ'', ''ẹ'', ''ọ''로 표시한다. 장모음 또는 이중모음이 단축된 모음 앞의 강세 음절에 나타나면 반장/상승음이 된다.

단축된 모음 앞의 자음이 양 3일 경우, 길어진 요소는 양 2가 되도록 단축된다. 그러나 결과 자음이 그 자음의 약화 등급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 자음이 이전에 자음 연장(아래)의 영향을 받았다면, 이 과정은 다시 단축시킨다.

동부 핀마르크 방언에서는 양 3 자음 앞에서 장모음과 이중모음이 단축된다. 이러한 방언에서 양 3의 길이가 소실되었기 때문에 이것은 음소적이다.

동부 핀마르크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장음 이 긴 예비 유성음 앞에서만 단축되고, 다른 자음 앞에서는 단축되지 않는다. 이중모음의 단축은 양 3의 길이가 보존되기 때문에 동화적이지만, 이중모음 단순화의 결과로 생긴 장모음의 단축은 음소적이다. 동부 핀마르크 방언에서는, 양의 크기가 1 또는 2인 자음 앞에 오는 단모음이 장모음화된다. 앞서 언급된 변화와 결합하여, 강세 모음의 길이는 뒤따르는 자음의 양에 따라 완전히 조건화된다. 게다가, 양의 크기가 3인 경우의 종지음 장모음화는 이러한 방언에서 사라졌기 때문에, 많은 경우 모음의 길이가 양의 크기 3과 2를 구분하는 유일한 수단이 된다.

서부 핀마르크 방언에서는, 강세가 없는 짧은 가 앞의 자음이 양(Quantity) 1 또는 2이고 앞 음절에 짧은 모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로 길어진다. "강세 모음 길이 변화"에서 이 단어들의 동부 핀마르크 발음을 비교해 보자.

이 과정에서 유래한 긴 는 자음 길이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다.

동부 핀마르크(Eastern Finnmark)를 제외한 방언에서는, 양(quantity) 2에서 뒤따르는 모음이 장모음이고 앞선 모음이 단모음인 경우 마지막 종지자(coda consonant)가 장음화된다. 종지자에 장음 자음이 포함되므로 양 3으로 간주되지만, 이 장음화는 대부분 동화적 변이음이며, 정자법상으로는 표기되지 않는다. 뒤따르는 모음이 인 경우 서부 핀마르크(Western Finnmark) 방언에서는 음소적이다. 장음화가 원래의 장음 에 의해 촉발되지만,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장음화된 원래의 단음 에 의해서는 촉발되지 않기 때문이다.

새로운 자음은 양 3 자음 배열(gradation)의 대응 자음과 일치할 수 있으며, 이는 약한 등급을 강한 등급으로 만드는 효과가 있다.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여전히 다를 수도 있다. 특히, 음절 분절에는 변화가 없으므로, 겹친 마지막 자음을 가진 양 2 자음의 경우 실제로 이 쌍의 첫 번째 자음이 장음화되어 초장음이 된다.

앞선 모음이 폐모음 이중모음 또는 인 경우에도 장음화가 발생한다. 이 경우, 새로운 양 3 자음 앞에서 이중모음도 단음화된다.

북부 사미어의 강세는 일반적으로 음소론적이지 않다. 단어의 첫 음절은 항상 주 강세를 갖는다. 대부분의 사미어와 마찬가지로 북부 사미어는 첫 번째 음절 이후의 홀수 번째 음절은 부차적인 강세를 받고 짝수 번째 음절은 무강세를 받는 교차(양보격) 강세 패턴을 따른다. 단어의 마지막 음절은 단음절 단어가 아닌 경우 강세를 받지 않는다. 따라서 단어는 다음 세 가지 패턴을 따를 수 있다.

이것은 다음과 같은 패턴을 제공하며, 이론적으로 무한정 확장될 수 있다. S는 강세를, \_는 무강세를 나타낸다.

음절의 수와 그에 따른 강세 패턴은 문법적인 이유로 중요하다. 마지막부터 짝수 개의 음절을 가진 어간을 가진 단어는 홀수 개의 음절을 가진 어간을 가진 단어와 다르게 활용된다.

여러 개의 별개의 어근으로 구성된 합성어의 경우, 각 단어는 고유한 강세 패턴을 유지하며, 일반적인 양보격 패턴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합성어의 첫 번째 요소가 홀수 개의 음절을 가지면, 무강세 음절 두 개가 강세 음절 하나 뒤에 오는 순서가 되는데, 이것은 합성어가 아닌 단어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어떤 경우에는 합성어의 첫 번째 요소가 단음절이어서 인접한 두 개의 강세 음절이 생기기도 한다. 따라서 강세는 합성어와 비합성어를 구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어휘적으로 중요하다.

최근 차용어는 일반적으로 차용된 언어의 강세를 유지하며, 원래 단어에서 강세를 받았던 음절에 부차적인 강세를 부여한다. 이 경우에도 일반적인 양보격 패턴이 깨질 수 있지만, 단어는 여전히 짝수 또는 홀수 활용 패턴에 맞춰지게 된다. 마지막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고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는 홀수 활용을 따른다.

마지막에서 세 번째 음절 또는 그 이전에 강세가 있는 단어는 북부 사미어에서는 허용되지 않으므로 강세가 수정된다.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오는 것은 허용되지 않으므로, 원래 단어의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있는 경우 이를 피하기 위해 북부 사미어에 추가적인 더미 음절(일반적으로 ''a'')이 추가된다.

원래의 강세 패턴을 유지한 결과, 일부 차용어에는 다른 환경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세 개의 무강세 음절이 연속되는 경우가 있다.

접속사, 후치사, 기능어, 그리고 단음절 대명사는 모두 무강세 경향이 있으며, 따라서 위의 규칙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북사미어는 다른 우랄어족 언어와 많은 문법적 특징을 공유하는 높은 교착어이다. 사미어는 원래의 집합적 형태론에서 융합어로, 그리고 굴절어로 상당히 발전해 왔는데, 이는 멀리 떨어져 있지만 관련이 있는 에스토니아어와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형태소는 접미사뿐만 아니라 어근에 대한 음운형태론적 변화로도 표시된다. 다양한 음운형태론적 변화 중 가장 중요하고 복잡한 것은 자음변화 시스템이다.

자음 변화(Consonant gradation)는 단어의 어미 변화에서 나타나는 자음 쌍 사이의 교체 패턴이다. 북사미어의 자음 변화 체계는 매우 복잡하며, 특히 핀란드어족에서 발견되는 체계와 비교했을 때 그러하다. 어근은 강세와 약세의 두 가지 ‘등급’으로 나타날 수 있다. 주어진 단어는 강세에서 양 3과 약세에서 양 2 사이를 번갈아 나타내거나, 강세에서 양 2와 약세에서 양 1 사이를 번갈아 나타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자음 다음의 음절이 폐쇄음절(consonant로 끝나는 음절)일 때 약세가 나타났지만, 특정 모음이나 자음의 소실로 인해 북사미어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불분명해졌고, 이제는 거의 불투명한 과정이 되었다.

동사, 일부 명사, 그리고 어휘 파생의 일부 과정에서, 양 2 강세는 “초강세” 양 3이 되어 세 가지 양 모두에서 번갈아 나타난다. 이는 두 번째와 세 번째 음절 사이의 자음(종종 또는 )의 역사적 소실로 인해 보상적 장화가 자음 변화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3과 2의 음절 수의 변이는 자음 군집 또는 두 개의 동일한 자음의 연쇄로 나타난다. 강세에서는 첫 번째 자음이 앞 음절의 종지(coda)를 형성하고, 나머지 자음은 다음 음절의 음두(onset)를 형성한다. 약세에서는 마지막 자음만이 다음 음절의 음두에 속하고, 나머지 자음은 앞 음절의 종지에 속한다. 따라서 세 개 이상의 자음이 있을 때, 음절 분리가 강세와 약세 사이에서 바뀐다. 또한, 강세는 기본적으로 종지에 길어진 자음을 가지는 반면, 약세에서는 이러한 길이가 일반적으로 없다. 그러나 이 길이는 자음 길이와 무강세 모음 단축의 수정 효과를 받으므로, 어떤 경우에는 길이 구분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길이는 음절 수의 지표가 되지만, 강세의 절대적인 지표는 아니다. 동부 핀마르크에서는 길이가 전혀 발견되지 않고, 길이 대신 앞 모음이 짧아지며, 길이가 없을 때 모음이 길어진다.

마지막 자음의 이중화는 약세의 또 다른 특징이지만, 앞 자음이 유성일 때만 발생한다. 추가된 자음은

5. 1. 격

어미복수
어미의미/용법주격 (nominatiivase)‑∅se‑tse주어목적격 (akkusatiivase)‑idse목적어소유격 (genitiivase)소유, 관계향격 (illatiivase)‑ise‑ide, ‑iddase~쪽으로/위로/안으로의 움직임위치격 (lokatiivase)‑sse‑inse~에/위에/안에 있음, ~에서/위에서/안에서의 움직임여격 (komitatiivase)‑inse‑iguinse~와 함께, ~와 같이, ~을 이용하여탈격 (essiivase)‑n, ‑inse~로서, ~의 역할로, ~의 조건하에(언제)



목적격과 소유격은 보통 동일하다. 탈격에는 단수/복수 구분이 없으므로, 예를 들어 mánnánse은 "아이로서" 또는 "아이들로서"로 해석된다.

짝수 변격을 하는 명사는 고유한 어근 끝 모음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어근의 마지막 자음에 자음 변화가 있는데, 강세 형태는 주격 단수, 향격 단수, 도구격에서 나타나고, 약세 형태는 나머지 형태에서 나타난다.

일부 짝수 명사는 자음 변화가 없다. 이러한 명사는 일반적으로 두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짝수 명사는 어근이 ''-a'', ''-i''로 끝나거나, 약간 드물게 ''-u''로 끝나는 명사이다.

giehta "손"
어근 -a
oaivi "머리"
어근 -i
ruoktu "집"
어근 -u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giehtagieđatoaivioaivvitruokturuovttut
목적격gieđagieđaidoaivviōivviidruovtturuovttūid
소유격gieđagieđaidoaivvi, oaivvōivviidruovttu, ruovttruovttūid
향격gīhtiigieđaideoaiváiōivviiderūktuiruovttūide
처소격gieđasgieđainoaivvisōivviinruovttusruovttūin
동반격gieđaingieđaiguinōivviinōivviiguinruovttūinruovttūiguin
도구격giehtanoaivinruoktun



어근이 ''-á'', ''-e'' 또는 ''-o''로 끝나는 짝수 음절 명사도 있지만 훨씬 드물다.

guoddá "베개"
어근
baste "수저"
어근 -e
gáivo "우물"
어근 -o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guoddáguottátbastebasttetgáivogáivvot
목적격guottáguottáidbasttebasttiidgáivvogáivvuid
소유격guottáguottáidbasttebasttiidgáivvogáivvuid
향격guoddáiguottáidebastiibasttiidegáivuigáivvuide
처소격guottásguottáinbasttesbasttiingáivvosgáivvuin
동반격guottáinguottáiguinbasttiinbasttiiguingáivvuingáivvuiguin
도구격guoddánbastengaivon



네 음절 이상의 짝수 명사는 주격 단수에서 최종 모음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결과적으로 최종 자음이 단순화된다. 이러한 명사의 어근은 항상 ''-a''로 끝난다.

sápmẹlaš "사미인"
단수복수
주격sápmẹlašsápmẹlaččat
목적격sápmẹlaččasápmẹlaččaid
소유격sápmẹlaččasápmẹlaččaid
향격sápmẹlažžiisápmẹlaččaide
처소격sápmẹlaččassápmẹlaččain
동반격sápmẹlaččainsápmẹlaččaiguin
도구격sápmẹlažžan



불규칙 변화를 보이는 명사는 어간 끝 모음으로 구분되지 않으며, 모두 동일한 어미 집합을 사용한다. 이들은 등급 변화 명사와 비등급 변화 명사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표는 세 가지 등급 변화 불규칙 명사를 보여준다.

ganjal "눈물"lávlla "노래"mielddus "사본"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ganjalgatnjalatlávllalávlagatmielddusmīldosat
목적격gatnjalagatnjaliidlávlagalávlagiidmīldosamīldosiid
소유격gatnjalagatnjaliidlávlagalávlagiidmīldosamīldosiid
향격gatnjaliigatnjaliiddalávlagiilávlagiiddamīldosiimīldosiidda
처소격gatnjalisgatnjaliinlávlagislávlagiinmīldosismīldosiin
동반격gatnjaliingatnjaliiguinlávlagiinlávlagiiguinmīldosiinmīldosiiguin
도구격ganjalinlávllanmielddusin



축약된 어미를 가진 명사는 어원적으로는 대부분 어간이 '-j' 또는 '-s'로 끝나는, 때로는 '-ž' (olmmošse 참조)로 끝나는 변화하는 기이 명사들이다.

강세 형태에서는 마지막 음절의 모음이 변화하는 기이 명사와 같이 변화한다. 그러나 어간 끝 자음이 소실되어 인접한 두 음절이 축약된다. 앞선 자음군은 보상적 장음화를 받아 원래의 길이에 관계없이 양 3이 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명사들의 강세 형태는 짝수 개의 음절을 가지며 짝수 명사와 같은 어미를 받지만, 변화하지는 않는다.

약세 형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원래의 축약되지 않은 형태가 보존된다. 원래의 끝 자음 '-j'는 모음 'u'와 'i' 뒤에서는 소실되어 어떤 형태에도 더 이상 나타나지 않는다.

čeavrris "수달"
어간 -is-
boazu "순록"
어간 -u-
(원래 -uj-)
olmmái "사람"
어간 -áj-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čeavrrisčeavrátboazubōhccotolmmáiolbmát
목적격čeavráčeavráidbōhccobōhccuidolbmáolbmáid
소유격čeavráčeavráidbōhccobōhccuidolbmáolbmáid
향격čeavráičeavráidebōhccuibōhccuideolbmáiolbmáide
처소격čeavrásčeavráinbōhccosbōhccuinolbmásolbmáin
동반격čeavráinčeavráiguinbōhccuinbōhccuiguinolbmáinolbmáiguin
도구격čeavrrisinboazunolmmájin



소유격 접미사는 의미상 영어의 소유격 대명사인 ''my'', ''your'', ''their'' 등과 유사하다. 소유격 접미사는 9개가 있으며, 단수, 이중, 복수 각 인칭에 하나씩 있다. 소유격 접미사는 명사의 끝에, 격 변화 어미 뒤에 붙는다. 예를 들어, ''ruovttus'' "집 안에"는 ''ruovttustan'' "내 집 안에"가 된다.

명사의 격 어미와 마찬가지로, 이 접미사는 음절 수가 짝수인 어간에 붙는지 홀수인 어간에 붙는지에 따라, 그리고 (짝수 음절 어간의 경우) 어간의 마지막 모음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갖는다. 다음 표는 접미사를 보여준다.

1인칭 단수2인칭 단수3인칭 단수1인칭 이중2인칭 이중3인칭 이중1인칭 복수2인칭 복수3인칭 복수
-a로 끝나는 짝수 음절 어간-an-at-as-ame-ade-aska-amet-adet-aset
로 끝나는 짝수 음절 어간-án-át-ás-áme-áde-áska-ámet-ádet-áset
-e로 끝나는 짝수 음절 어간-en-et-es-eme-ede-eska-emet-edet-eset
-i로 끝나는 짝수 음절 어간-án-át-is-áme-áde-iska-ámet-ádet-iset
-o로 끝나는 짝수 음절 어간-on-ot-os-ome-ode-oska-omet-odet-oset
-u로 끝나는 짝수 음절 어간-on-ot-us-ome-ode-uska-omet-odet-uset
홀수 음절 어간-an-at-is-eame-eatte-easkka-eamet-eattet-easet



접미사는 명사와 격 어미의 결합에 붙으므로, 접미사가 붙는 어간은 명사의 어간과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새로운 "소유격 어간"이 격 어미를 포함한 명사로부터 형성된다. 이 어간은 항상 명사 자체의 어미와 동일하지는 않다. 일부 격 어미는 변형되거나 마지막 모음이 추가된다. 따라서 특정 격은 본질적으로 '-a'로 끝나는 소유격 어간을 가질 수 있고, 다른 격은 '-i'를 가질 수 있지만, 이것은 조합이 짝수 음절을 가질 때만 중요하다.

다음 표는 위에서 어미 변화가 주어진 네 개의 명사에 대한 각 격의 소유격 어간을 보여준다.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면 짝수이며, 일치하는 모음이 있는 접미사가 사용된다.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면 홀수이며, 홀수 어미가 사용된다.

giehta "손"
-a로 끝나는 짝수 음절 어간
oaivi "머리"
-i로 끝나는 짝수 음절 어간
ruoktu "집"
-u로 끝나는 짝수 음절 어간
lávlla "노래"
홀수 음절 어간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giehta-?oaivi-?ruoktu-?lávlag-?
목적격giehta-, gieđa-gieđaid-oaivi-ōivviid-ruoktu-ruovttūid-lávlag-lávlagiiddi-
소유격giehta-, gieđa-gieđaid-oaivi-ōivviid-ruoktu-ruovttūid-lávlag-lávlagiiddi-
향격giehtas-gieđaidasa-oaivás-ōivviidasa-rūktos-ruovttūidasa-lávlagasa-lávlagiiddás-
처소격gieđast-gieđain-oaivvist-ōivviin-ruovttust-ruovttūin-lávlagistti-lávlagiinni-
동반격gieđain-gieđaid- -guinōivviin-ōivviid- -guinruovttūin-ruovttuid- -guinlávlagiinni-lávlagiiddi- -guin
공유격giehtan-oaivin-ruoktun-lávllan-



복수 동반격에서는 소유격 접미사가 소유격 어간과 최종 '-guin' 사이에 붙는다.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주격, 목적격, 소유격 단수의 경우, 소유격 어간은 명사 어간과 동일하다. 어간은 목적격과 소유격 단수 형태에서 자음 변화를 겪으며, 'e' 또는 'o'로 시작하는 어미는 이중모음 단순화를 유발한다. 명사는 1인칭 소유격 접미사와 함께 강세 등급에 있으며, 2인칭 및 3인칭 소유격 접미사와 함께 약세 등급에 있다.

''ruoktu''의 소유격 형태는 다음과 같다.

격/수1인칭 단수2인칭 단수3인칭 단수1인칭 이중2인칭 이중3인칭 이중1인칭 복수2인칭 복수3인칭 복수
주격 단수rūktonrūktotruoktusrūktomerūktoderuoktuskarūktometrūktodetruoktuset
목적격/소유격 단수rūktonrūvttotruovttusrūktomerūvttoderuovttuskarūktometrūvttodetruovttuset
향격 단수rūktosanrūktosatrūktosisrūktoseamerūktoseatterūktoseaskkarūktoseametrūktoseattetrūktoseaset
처소격 단수ruovttustanruovttustatruovttustisruovttusteameruovttusteatteruovttusteaskkaruovttusteametruovttusteattetruovttusteaset
동반격 단수ruovttūinanruovttūinatruovttūinisruovttūineameruovttūineatteruovttūineaskkaruovttūineametruovttūineattetruovttūineaset
목적격/소유격 복수ruovttūidanruovttūidatruovttūidisruovttūideameruovttūideatteruovttūideaskkaruovttūideametruovttūideattetruovttūideaset
향격 복수ruovttūidasanruovttūidasatruovttūidasasruovttūidasameruovttūidasaderuovttūidasaskaruovttūidasametruovttūidasadetruovttūidasaset
처소격 복수ruovttūinanruovttūinatruovttūinisruovttūineameruovttūineatteruovttūineaskkaruovttūineametruovttūineattetruovttūineaset
동반격 복수ruovttūidanguinruovttūidatguinruovttūidisguinruovttūideameguinruovttūideatteguinruovttūideaskkaguinruovttūideametguinruovttūideattetguinruovttūideasetguin
공유격ruoktunanruoktunatruoktunisruoktuneameruoktuneatteruoktuneaskkaruoktuneametruoktuneattetruoktuneaset


5. 2. 대명사

북부 사미어의 인칭 대명사는 하나(단수), 둘(이중), 여럿(복수)의 세 가지 수를 갖는다. 3인칭 복수 외에 이중(''guvttiidlohku'')이라는 수가 있는데, 이는 정확히 두 명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주격하나여럿
1인칭 주격munmoaimii
2인칭 주격dondoaidii
3인칭 주격sonsoaisii
소유격/대격하나여럿
1인칭 소유격mumunnomin
2인칭 소유격dududnodin
3인칭 소유격susudnosin그의



다음은 인칭 대명사의 격변화표이다.

mun, mon "나"don "너(단수)"son "그, 그녀"
주격mun, mondonson
목적격mudusu
소유격mudusu
향격munnjedutnjesutnje
처소격musdussus
동반격muinnaduinnasuinna
도구격muninduninsunin
moai "우리 둘"doai "너희 둘"soai "그들 둘"
주격moaidoaisoai
목적격muno'''dudnosudno
소유격muno'''dudnosudno
향격munuide'''dudnuidesudnuide
처소격munos'''dudnossudnos
동반격munuin'''dudnuinsudnuin
도구격munon'''dudnonsudnon
mii "우리(모두)"dii "너희(모두)"sii "그들(모두)"
주격miidiisii
목적격mindinsin
소유격mindinsin
향격midjiidedidjiidesidjiide
처소격misdissis
동반격minguindinguinsinguin
도구격minindininsinin



북부 사미어의 지시 형용사/대명사 5개는 어느 정도 불규칙적으로 활용된다. 주격 단수와 주격 복수는 동일하며, 다른 격들 중 일부는 명사에서 발견되지 않는 어미를 가진다.

dat "그것, 저것 (앞서 언급된 것)"dát "이것 (화자 가까이)"diet "그것 (듣는이 가까이)"duot "저것 (둘 다 가깝지 않은 것)"dot "저것, 저쪽 (아주 먼 것)"
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datdatttdietdietduotduotdotdot
목적격dandaidniddiendieidduonduoiddondoid
소유격dandaidniddiendieidduonduoiddondoid
향방격dasadaiddasaiddadiesadieiddaduosaduoiddadosadoidda
처소격dasdainsindiesdieinduosduoindosdoin
동반격dainnadaiguininnaiguindieinnadieiguinduoinnaduoiguindoinnadoiguin
도구격daninnindieninduonindonin



의문대명사/관계대명사/지시형용사인 ''gii''("누가")와 ''mii''("무엇, 어떤")는 마찬가지로 불규칙적이다.

gii "누가"mii "무엇, 어떤"
단수복수단수복수
주격giigeatmiimat
목적격geangeaidman, máidmaid
소유격geangeaidmanmaid
향방격geasageaiddamasamaidda
처소격geasgeainmasmain
동반격geainnageaiguinmainnamaiguin
도구격geaninmanin



''mii''의 목적격 단수형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규칙적인" 형태인 ''man''은 제한된 수의 선택지 중에서 선택한다는 의미가 있을 때 사용된다.

재귀대명사는 ''ieš''(이중 및 복수 ''ieža'')이며, '나 자신', '너 자신', '그 자신', '그녀 자신' 등을 의미한다. 기본 형태에서 이 대명사는 주격으로만 나타나며, 단독으로는 절대 사용되지 않는다. 항상 문장의 주어 옆에 나타나며, 주어를 강조하는 부사 역할을 한다.

다른 격들은 단수에서만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항상 주어와 일치하는 소유격 접미사와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형태들은 불규칙적일 뿐만 아니라 보어적이다. 내격과 처소격 형태는 완전히 다른 어근에서 유래한다. 또한 여러 가지 대체 어간이 존재한다.

소유격 어간주석
목적격ieža- (iehča-)iehča- 어간은 1인칭 소유격에만 사용된다.
소유격ieža- (iehča-)
내격alcces-, alcce-, allas- (alcca-)alcca- 어간은 1인칭과 2인칭 소유격에만 사용된다.
처소격alddi-, alddest- (alddiin-, alddán-)alddiin-alddán- 어간은 이중 및 복수 소유격에만 사용된다.
동반격iežain-
도구격iehčan-


5. 3. 동사

"달리다"동작 명사viehkan
"달리기"목적 부사절viehkandihte
"달리기 위해서"현재 분사viehkki
"달리는"동작 여격viehkamin, viehkame
"달리는 동안에"동시 부사절viegadettiinis
"(그/그녀/그것이) 달리는 동안"과거 분사viehkan
"달린"동작 여격viehkamis
"달리기로부터"주어 분사(viehkan)동작 함께격viehkamiin
"달리면서"부정 분사viegakeahtẹs
"달리지 않은"부정 부사절viegakeahttá
"달리지 않고"현재
직설법과거
직설법명령법/
소원법조건법가능법1인칭 단수vieganvīhkenvīhkonviegašin, viegašedjenviegažan2인칭 단수viegatvīhketviegaviegašit, viegašedjetviegažat3인칭 단수viehkáviegaivīhkosviegašiiviegaža, vieg1인칭 이중vīhkeviegaimeviehkkuviegašeimmeviegažetne2인칭 이중viehkabeahttiviegaideviehkkiviegašeiddeviegažeahppi3인칭 이중viehkabaviegaigavīhkoskaviegašeiggaviegažeaba1인칭 복수viehkatviegaimetvīhkot, viehkkutviegašeimmetviegažit, viegažat2인칭 복수viehkabehtetviegaidetvīhket, viehkkitviegašeiddetviegažehpet3인칭 복수vīhketvīhkevīhkosetviegaše, viegašedjeviegažit연결 부정viegaviehkanviegaviegaševieg



eallit - 살다현재
직설법
과거
직설법
명령법/
소원법
조건법가능법
1인칭 단수ealánēllenēllonealášin, ealášedjenēležan
2인칭 단수ealátēlletealeealášit, ealášedjetēležat
3인칭 단수ealláēliiēllosealášiiēleža, ēl
1인칭 이중ēlleēliimeealu'''ealášeimmeēležetne
2인칭 이중eallibeahttiēliideeali'''ealášeiddeēležeahppi
3인칭 이중eallibaēliigaēlloskaealášeiggaēležeaba
1인칭 복수eallitēliimetēllot, ealut'''ealášeimmetēležit, ēležat
2인칭 복수eallibehtetēliidetēllet, ealit'''ealášeiddetēležehpet
3인칭 복수ēlletēlleēllosetealáše, ealášedjeēležit
연결 부정ealeeallánealeealášeēl



goarrut - 꿰매다현재
직설법
과거
직설법
명령법/
소원법
조건법가능법
1인칭 단수goarungōrrongōrrongōrošin, gōrošedjengōrožan
2인칭 단수goarutgōrrotgoarogōrošit, gōrošedjetgōrožat
3인칭 단수goarrugōruigōrrosgōrošiigōroža, gōr
1인칭 이중gōrrogōruimegoaru'''gōrošeimmegōrožetne
2인칭 이중goarrubeahttigōruidegoaru'''gōrošeiddegōrožeahppi
3인칭 이중goarrubagōruigagōrroskagōrošeiggagōrožeaba
1인칭 복수goarrutgōruimetgōrrot, goarut'''gōrošeimmetgōrožit, gōrožat
2인칭 복수goarrubehtetgōruidetgōrrot, goarut'''gōrošeiddetgōrožehpet
3인칭 복수gōrrotgōrrogōrrosetgōroše, gōrošedjegōrožit
연결 부정goarogōrrongoarogōrošegōr



말하다 (muitalit)현재 시제
직설법
과거 시제
직설법
명령법/
소망법
조건법가능법
1인칭 단수muitalanmuitalinmuitalehkonmuitalivččenmuitaleaččan
2인칭 단수muitalatmuitalitmuitalmuitalivččetmuitaleaččat
3인칭 단수muitalamuitaliimuitalehkosmuitalivččiimuitaleažžá
1인칭 복수(2인)muitaletnemuitaleimmemuitaleahkkumuitalivččiimemuitaležže
2인칭 복수(2인)muitaleahppimuitaleiddemuitalahkkimuitalivččiidemuitaleažžabeahtti
3인칭 복수(2인)muitaleabamuitaleiggamuitalehkoskamuitalivččiigamuitaleažžaba
1인칭 복수muitalitmuitaleimmetmuitalehkotmuitalivččiimetmuitaleažžat
2인칭 복수muitalehpetmuitaleiddetmuitalehketmuitalivččiidetmuitaleažžabehtet
3인칭 복수muitalitmuitaledjemuitalekosetmuitalivččemuitaležžet
부정 연결 동사muitalmuitalanmuitalmuitalivččemuitaleačča



čohkkát - 앉다현재
직설법
과거
직설법
명령법/
상사법
조건법가능법
1인칭 단수čohkkánčohkkájinčohkkájehkončohkkášin, čohkkášedjen, čohkkálin, čohkkáledjenčohkkážan
2인칭 단수čohkkátčohkkájitčohkkáčohkkášit, čohkkášedjet, čohkkálit, čohkkáledjetčohkkážat
3인칭 단수čohkkáčohkkáičohkkájus, čohkkájehkosčohkkášii, čohkkáliičohkkáš, čohkkáža
1인칭 이중čohkkájetnečohkkáimečohkkájeadnu, čohkkájeahkkučohkkášeimme, čohkkáleimmečohkkážetne
2인칭 이중čohkkábeahttičohkkáidečohkkájeahkkičohkkášeidde, čohkkáleiddečohkkážeahppi
3인칭 이중čohkkábačohkkáigačohkkájehkoskačohkkášeigga, čohkkáleiggačohkkážeaba
1인칭 복수čohkkátčohkkáimetčohkkájehkot, čohkkájednot, čohkkájeatnot, čohkkájeahkkotčohkkášeimmet, čohkkáleimmetčohkkážit, čohkkážat
2인칭 복수čohkkábehtetčohkkáidetčohkkájehketčohkkášeiddet, čohkkáleiddetčohkkážehpet
3인칭 복수čohkkájitčohkkájedječohkkájehkosetčohkkáše, čohkkášedje, čohkkále, čohkkáledječohkkážit
연결 부정čohkkáčohkkánčohkkáčohkkáše, čohkkálečohkkáš



čilget - 설명하다현재
직설법
과거
직설법
명령법/
상사법
조건법가능법
1인칭 단수čilgenčilgejin, čilgejedjenčilgejehkončilgešin, čilgešedjen, čilgelin, čilgeledjenčilgežan
2인칭 단수čilgetčilgejit, čilgejedjetčilgečilgešit, čilgešedjet, čilgelit, čilgeledjetčilgežat
3인칭 단수čilgečilgiičilgejus, čilgejehkosčilgešii, čilgeliičilg, čilgeža
1인칭 이중čilgejetnečilgiimečilgejeadnu, čilgejeahkkučilgešeimme, čilgeleimmečilgežetne
2인칭 이중čilgebeahttičilgiidečilgejeahkkičilgešeidde, čilgeleiddečilgežeahppi
3인칭 이중čilgebačilgiigačilgejehkoskačilgešeigga, čilgeleiggačilgežeaba
1인칭 복수čilgetčilgiimetčilgejehkot, čilgejednot, čilgejeatnot, čilgejeahkkotčilgešeimmet, čilgeleimmetčilgežit, čilgežat
2인칭 복수čilgebehtetčilgiidetčilgejehketčilgešeiddet, čilgeleiddetčilgežehpet
3인칭 복수čilgejitčilgeje, čilgejedječilgejehkosetčilgeše, čilgešedje, čilgele, čilgeledječilgežit
연결 부정čilgečilgenčilgečilgeše, čilgelečilg



liikot - 좋아하다현재
직설법
과거
직설법
명령법/
상사법
조건법가능법
1인칭 단수liikonliikojin, liikojedjenliikojehkonliikošin, liikošedjen, liikolin, liikoledjenliikožan
2인칭 단수liikotliikojit, liikojedjetliikoliikošit, liikošedjet, liikolit, liikoledjetliikožat
3인칭 단수liikoliikuiliikojus, liikojehkosliikošii, liikoliiliik, liikoža
1인칭 이중liikojetneliikuimeliikojeadnu, liikojeahkkuliikošeimme, liikoleimmeliikožetne
2인칭 이중liikobeahttiliikuideliikojeahkkiliikošeidde, liikoleiddeliikožeahppi
3인칭 이중liikobaliikuigaliikojehkoskaliikošeigga, liikoleiggaliikožeaba
1인칭 복수liikotliikuimetliikojehkot, liikojednot, liikojeatnot, liikojeahkkotliikošeimmet, liikoleimmetliikožit, liikožat
2인칭 복수liikobehtetliikuidetliikojehketliikošeiddet, liikoleiddetliikožehpet
3인칭 복수liikojitliikoje, liikojedjeliikojehkosetliikoše, liikošedje, liikole, liikoledjeliikožit
연결 부정liikoliikonliikoliikoše, liikoleliik



북부 사미어는 다른 우랄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부정 동사를 가지며, 부정 동사는 , 인칭, 에 따라 활용되지만, 시제에 따라 활용되지는 않는다.

직설법명령법/희망법숙격
1인칭 단수inallonaman
2인칭 단수italeamat
3인칭 단수iiallosamas
1인칭 이중eanal'luamame
2인칭 이중eahppial'liamade
3인칭 이중eabaalloskaamaska
1인칭 복수eatallotamamet
2인칭 복수ehpetalletamadet
3인칭 복수eaiallosetamaset


참조

[1] 웹사이트 språk i Norge – Store norske leksikon https://snl.no/språk[...] 2024-02-28
[2] 웹사이트 St.meld. nr. 35 (2007-2008) https://www.regjerin[...] 2008-06-27
[3] 웹사이트 To which languages does the Charter apply? http://hub.coe.int/c[...] Council of Europe 2014-04-03
[4] 서적 The Linguistics Student's Handbook Edinburgh 2007
[5] 웹사이트 Samediggi – Saamelaiskäräjät – Sámi language http://www.samediggi[...] 2008-09-21
[6] 웹사이트 The Sámi dialects http://www.eng.samer[...] 2008-09-21
[7] 웹사이트 Samisk kyrko- och undervisningslitteratur i Sverige 1619–1850. http://www.diva-port[...] Scriptum: Rapportserie utgiven av Forskningsarkivet vid Umeå universitet 1988
[8] 웹사이트 Undersøkelse av bruken av samisk språk, 2000 https://sametinget.n[...] Sami Parliament of Norway 2023-11-26
[9] 웹사이트 Hvor bor det flest samer? https://www.faktisk.[...] Faktisk.no 2020-02-06
[10] 웹사이트 Disabled Sámi in Norway. A double minority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indigenous rights http://rethinkingdis[...] 2019-09
[11] 웹사이트 Topics in North Saami Phonology http://www.ling.ohio[...] 2005
[12] 서적 Samisk grammatikk Davvi Girji
[13]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Uralic Languag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3
[14] 학술지 Ruijansaamen itämurteen vokaalijärjestelmä
[15] 서적 Lehrbuch der saamischen (lappischen) Sprache Helmut Buske Verlag
[16] 서적 The Saami Languages: An Introduction Davvi Girji
[17] 서적 Sámegiel-ruoŧagiel skuvlasátnelistu Sámiskuvlastivra
[18] 웹인용 Samediggi - Saamelaiskäräjät - Sámi language http://www.samediggi[...] 2008-09-21
[19] 웹인용 The Sami dialects https://web.archive.[...] 2008-09-21
[20] 서적 Sámegiel-ruoŧagiel skuvlasátnelistu Sámiskuvlastiv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